공동인증서 이거뭐지? 공인인증서도 아니고~~~헷갈리시죠?
공동인증서는 기존의 공인인증서를 대체해 전자서명, 인터넷 뱅킹, 민원 서비스 등에 사용되는 범용 인증서입니다.
금융거래, 정부24, 홈택스 등 다양한 기관에서 본인 확인 수단으로 활용되며, PC와 모바일 모두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공동인증서가 무엇인지부터 PC/모바일 각각의 발급 절차까지 단계별로 안내해드립니다.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
공동인증서란?
공인인증서의 대체 인증 수단
기존에 사용되던 공인인증서는 2020년 말 폐지되었습니다. 그 대안으로 민간 기업이 제공하는 인증서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공동인증서가 남아 전자서명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공동인증서는 유효기간 내 여러 기관에서 통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법적 효력도 인정받는 범용 전자서명 수단입니다.
사용처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금융기관은 물론이고, 정부24, 홈택스,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 등 공공기관에서도 공동인증서를 요구합니다.
최근에는 금융인증서, 간편인증서와 병행 사용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공동인증서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공동인증서 발급 준비사항
개인 정보와 신분 확인
공동인증서 발급을 위해서는 본인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번호 또는 OTP, 그리고 본인 명의의 은행 계좌 또는 카드 인증이 필요합니다.
휴대폰 본인 인증 또는 은행계좌 인증 방식 중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저장 매체 준비
공동인증서는 PC에서는 하드디스크, 이동식 USB, 보안토큰에 저장할 수 있으며, 모바일에서는 스마트폰 기기에 저장됩니다.
발급 후 반드시 인증서를 안전한 곳에 백업하거나, USB 등에 복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공동인증서 PC에서 발급받는 방법
1단계. 공동인증서 발급 사이트 접속
대표 발급기관은 한국정보인증(사인게이트), 금융결제원, 코스콤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는 사인게이트입니다.
2단계. 인증서 신청 및 신원 확인
‘개인용 공동인증서 발급’ 메뉴를 클릭한 후,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 절차(휴대폰 또는 계좌)를 거칩니다.
인증 방식은 인증서 없이도 가능하며, 휴대폰 본인인증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3단계. 비밀번호 설정 및 저장
인증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원하는 저장 위치를 선택하면 공동인증서가 발급됩니다. 보안을 위해 10자리 이상의 비밀번호 설정을 권장하며,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바일에서 공동인증서 발급받는 방법
스마트폰에서도 쉽게 가능
안드로이드 또는 iOS 앱스토어에서 ‘공동인증서’ 또는 ‘사인게이트’를 검색해 앱을 설치한 뒤 진행하면 됩니다.
설치 후 절차는 PC와 유사하며, 신분 확인 → 비밀번호 설정 → 스마트폰 저장 순으로 이루어집니다.
앱 연동 후 다양한 사이트 로그인
발급된 공동인증서는 정부24, 홈택스, 은행 앱 등 다양한 앱이나 웹사이트 로그인 시 사용할 수 있으며, 앱 내에서 바로 연동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금융인증서에 비해 조금 무겁지만, 범용성이 넓고 기업에서도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공동인증서 발급은 무료인가요?
대부분의 은행 및 발급기관에서는 1년 단위로 일정 금액(4,400원~5,500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단, 간편용(금융기관 전용)의 경우 무료인 경우도 있습니다.
Q. 공동인증서 유효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이며, 만료 전에 갱신 알림을 받고 연장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 발급은 무료인가요?
Q. 공동인증서를 잃어버렸어요
저장장치를 분실했거나 삭제된 경우, 발급기관 사이트에서 재발급 신청을 하면 됩니다. 신원 인증 절차는 처음과 동일합니다.